안티팬정 효능 효과, 부작용과 복용시 주의점

반응형

  안티팬정 효능 효과, 부작용과 복용시 주의점

안티팬정 의약품의 효능 효과와 복용 방법, 부작용,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전문 의약품으로 병원 처방 및 약국에서 구입 가능합니다. 전문의 처방이 있어야 되는 약이므로 이 글의 안티팬정 정보를 확인하고 복용을 하시기 바랍니다.


▶ 상세정보

 제품명 

 안티팬정 (Antipain Tab.)

 전문/일반

 일반

 판매 회사

 청계제약

 복지부 분류

 124 - 진경제

 보험코드/구분

 

 영문 성분명

 Scopolamine Butylbromide 10 mg, Acetaminophen 500 mg

 한글 성분명

 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10 mg, 아세트아미노펜 500 mg 

 생산여부

 생산

 미국 FDA 임부안정성

 분류

 성상

 백색의 장방형 제피정


▶ 외형정보

제형: 필름코팅정

표시(앞): CGP9

모양 : -

색상 : 하양


안티팬정




▶ 효능/효과

위장관계 질환의 발작성 동통 또는 담도계, 비뇨기계, 월경곤란증 등 여성 생식기계의 기능장애 및 경련성 동통

▶ 복용방법


성인 1회 1~2정씩 1일 3회 복용한다. 

1일 최대용량은 6정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 복용시 부작용과 주의점

이 약을 복용하시는 분들은 다음과 같은 점을 알아주시는게 좋습니다.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혹시 약을 복용하시고 난 후 다음과 같은 평소와 다른 증상이 생긴다면 즉시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와 상담하셔야 합니다.




1. 경고 

매일 세잔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여 할 경우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중증의 신장애 환자 

2) 글루코스-6-인산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결핍증 환자 

3) 녹내장환자 

4) 전립선 비대증 환자 

5) 유문협착 환자 

6) 마비성 장폐색 환자 

7) 이 약에 과민증(발진, 발적, 가려움, 후두, 눈꺼풀, 입술등의 부종)의 병력이 있는 환자 

8) 이 약 또는 다른 감기약, 해열진통제에 의한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 

9) 근뮤력증 환자 

10) 거대결장증 환자 

11) 부정빈맥 환자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기능장애 환자 

2) 길버트증후군(모일렌그라하트증)환자 

3) 중증의 심질환, 관상동맥부전, 심부전환자 


4. 부작용 

1) 혈액 : 혈소판감소증, 과립구감소증, 청색증, 백혈구감소증, 범혈구감소증이 나타날 수 있다. 

2) 과민증 : 퀸케부종, 호흡곤란, 발한, 구역, 혈압저하, 쇽, 발적, 발진등의 피부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3) 소화기계 : 구역, 구토, 식욕부진, 변비가 나타날 수 있다. 

4) 기타 : 구갈, 배뇨장애, 산동, 모양근마비, 홍조, 어지러움, 불안, 흥분, 환각, 기립성 저혈압, 발진, 빈맥, 이상고열, 발한이상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 무통성 천식 증후군은 아세트아미노펜성분에 의해서 일어나지는 않으나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2) 기관지 천식이나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등 기환지 경련이 일어날 소인이 있는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기관지 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3) 자동차 운전등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4) 이 약의 투여에 의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드물게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한다. 

① 이 약의 투여후 즉시 두드러기, 부종(후두,눈꺼풀,입술등),가슴답답함등과 함께 안색이 창백해지고, 수족이 차가워지고 식은땀,숨가쁨등이 나타나는 경우 

② 고열을 수반하는 발진, 발적,화상모양 셕?틜犬崙堧  혈장반감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알코올은 아세트아미노펜 과량 투여의 간독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6. 상호작용 

1) 알코올 남용 및 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의 분해를 증가시키는 약물(바르비탈계약물을 함유하는 수면유도제,항전간제,리팜피신등)의 동시 병용투여는 아세트아미노펜의 무해용량에서도 간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2) 삼환계 항우울약, 항히스타민제, 퀴니딘, 아만타딘, 디소피라미드의 항콜린작용은 이 약에 의해 증강될 수 있다. 

3) 메토클로프라미드와 같은 항도파민약과 병용투여시 두 약물의 위장관에서의 작용이 감소될 수 있다. 

4) 이 약에 의해 베타-효능약의 심박증가 작용이 증강될 수 있다. 

5) 프로판텔린과의 병용투여로 인해 위장관 배출시간이 늦어져 아세트아미노펜의 흡수율이 낮아질 수 있으며 그 결과로 아세트아미노펜의 효과발현시간이 늦어질 수 있다. 메토클로프라미드의 투여후와 같이 위장관 배출시간이 빨라진 경우에는 흡수율이 높아질 수 있다. 

6) 클로람페니콜과 병용투여시 클로람페니콜의 반감기를 연장시키므로 독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7) 임상적으로 경구용 항응고약과 이 약과의 관련성은 밝혀진 바 없다. 그러므로 두 약물을 병용 투여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야 한다. 

8) 아세트아미노펜과 지도부딘의 병용투여시 백혈구감소증을 악화시킨다. 그러므로 두 약물을 병용투여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야 한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다른 약물들과 마찬가지로 임신중(특히 임신초기 3개월 이내)에는 약물사용에 관한 일반적 주의를 지킨다.) 

2) 수유부에 고용량을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영아의 이유를 고려한다. 


8.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투여는 바람직하지 않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후 

- 부롬화부틸스코폴라민 

사람에서 이 성분의 과량투여에 의한 급성독성 증후는 나타난 바 없으나 과량 투여에 의해 배뇨장애, 구강건조, 발적, 빈맥, 위장관 운동저하, 시조절장애 등의 항콜린성 증후가 나타날 수 있다. 

-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아미노펜의 과량투여에 의한 독성은 24-48시간의 잠복기 후에 나타날 수서는 구역, 구토, 발한, 수면장애, 불편함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두번째 단계(2일)에서는 일시적으로 주관적인 증상의 개선을 느끼며 세번째 단계(3,4일)에서는 트랜스아미나제치가 현저히 높아지고, 황달,응고이상, 저혈당이 일어나면서 간성혼수로 빠지게 된다. 

2) 치료 

6시간 이내에 악용탄으로 위세척을 한다. 중독 후 8~12시간안에 아세틸시스테인같은 SH기 수여체를 정맥주사하면 아세트아미노펜의 세포독성 대사물을 흡착시킬 수 있다. 원칙적으로 아세틸시스테인은 지체없이 투여되어야 한다. 이것은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중농도를 결정하는 좋은 방법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의 혈중농도는 투석에 의해 감소시킬 수 있다. 브롬화부틸스코폴라민 과량투여 증상은 부교감신경 효능약으로 치료한다. 녹내장환자에게는 필로카르핀을 국소적으로 투여한다. 필요하다면 부교감신경 효능약인 네오스티민 0.5~2.5mg을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심혈관계 합병증은 일반적인 치료원칙에 따라 치료한다. 호흡마비의 경우에는 삽관법, 인공호흡을 하며 배뇨장애에는 카테타를 삽입한다.

▶ 포장단위

10정

▶ 기타

지금까지 안티팬정 (Antipain Tab.)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관련된 질환이 있으시거나 복용하시는 분들께 좋은 정보가 되길바라며 줄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